대부분의 강아지는 하루 12시간에서 14시간을 통상 잔다고 한다. 어린 강아지는 18시간 정도 수면시간을 가진다.
그런데 우리 강아지가 밤에 통 잠을 못 자는 것 같은데 왜 그럴까? 같이 이유를 알아보자.
못 자는 이유
1. 건강 문제
강아지가 근본적인 건강 문제로 인해 불편함이나 고통을 겪고 있다면 잠을 자기 꺼려할 수 있다. 관절염, 소화 장애 또는 감염과 같은 건강 문제는 휴식을 방해할 수 있다.
2. 불안 또는 스트레스
강아지는 환경 변화, 시끄러운 소음, 주인과의 이별 또는 집안의 새로운 사람이나 애완동물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긴장을 풀고 잠들기가 어려울 수 있다.
3. 환경 요인
과도한 소음, 불편한 실내 온도 또는 밝은 조명, 이사로 인한 환경 변화 같은 외부 요인은 강아지의 수면 패턴을 방해할 수 있다.
4. 일상의 변화
개는 습관의 동물이며 일상의 갑작스러운 변화는 안절부절못하고 잠들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5. 연령 및 에너지 수준
어린 강아지는 에너지 수준이 더 높은 경향이 있으며 밤에 더 활동적일 수 있고, 노령견은 노화로 인해 수면 패턴에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6. 품종 특성
일부 강아지 품종은 기민하고 경계하는 경향이 강해서 깊은 수면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주의 또는 배고픔
강아지가 관심을 끌거나 배고프면 잠재적인 상호 작용이나 음식 기회에 주의를 기울이기 위해 잠을 거부할 수 있다.
8. 의학적 상태
쿠싱병이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같은 특정 의학적 상태는 강아지의 수면과 각성 주기를 방해할 수 있다.
할 수 있는 방법
1. 동물 병원 진료
강아지의 수면 문제가 지속되거나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 같으면 병원 진료를 보는 게 좋다.
2. 차분한 환경 만들기
강아지의 수면 공간이 조용하고 편안하며 산만하지 않은지 확인해 본다.
3. 일관된 일과 정하기
강아지는 일과에 따라 번성하므로 식사시간, 놀이 시간, 배변 시간에 대한 일관적인 일정을 유지하도록 노력해 보는 것도 좋다. 규칙적인 운동은 쉽게 잠들 수 있도록 도와준다.
4. 불안 및 스트레스 관리
강아지가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고통받는 경우 트리거를 식별해야 한다.
5. 자극에 대한 노출 제한
시끄러운 소음, 밝은 빛 또는 강아지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기타 자극에 대한 노출을 줄인다. 잠재적인 방해 요소를 없애기 위해 백색 소음이나 차분한 음악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6. 심야시간에 간식 주지 않기
취침 시간 가까이에 강아지에게 간식을 주지 않는다. 이렇게 하면 밤에 배변을 하거나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7. 편안함과 관심 제공
충분한 관심과 정신적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낮 동안 반려견과 양질의 시간을 보내 보는 것도 좋다.
8. 마사지나 반신욕
일부 강아지는 부드러운 마사지나 아로마세러피와 같은 것들을 통해 취침 전에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길동이도 예민한 강아지라서 작은 소리에도 잠에서 깨는데 강아지 성격이 그런 것도 있겠지만 완전히 잠을 못 자는 강아지라면 위 방법으로 시도해 봐도 잠을 못 잔다면 병원 진료가 좋은 방법일 것 같다.
우리 강아지와 오늘 밤 좋은 꿈 꾸면서 오래 잘 수 있기를!
그럼 길동이도 모두모두 뱌뱌 길뱌 :)